<aside>
💡 개발자마다 작업 Repo에 대한 설정 가이드
</aside>
레포지토리 구성에 대한 설명
레포지토리는 아래와 같이 Upstream Repo이라는 개발자 공유 저장소를 유지
- Upstream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해당 가이드에선 최상위 Repo를 지칭
개발자의 Origin Repo은 Upstream Repo의 무결성을 위해 Layer를 추가
- 해당 원리는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에 Contributor로 참여하는 방법과 유사
현재 사용하는 Bitbucket에선 Forking Workflow라고 명칭

Repository 가이드 참고자료
출처: https://hyeonic.tistory.com/188
레포지토리 명
- snake case로 작성
- 단어는
_
로 이어서 작성, 구분자는 -
로 구분
- ex) screen-bloom_seoul_land, fe-react-cccv_wallet
- fe-${플랫폼 및 프레임워크}-* 로 작성
- 동일한 서비스를 re-code하는 경우가 있을 것을 대비해서 플랫폼 및 프레임워크 명을 포함
* 장단점
레포지토리 설정
Upstream Repo 설정하기
<aside>
⚠️ Upstream Repo는 직접적으로 push하는 행위를 막아야함
</aside>
- main브랜치로부터 develop 브랜치를 생성
-
- Pull Request 설정
-
- Workflow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