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나은 SEO노출을 위해 사이트맵을 작성하여 검색엔진 최적화를 고도화해보자
사이트맵은 사이트에 있는 페이지, 동영상 및 기타 파일과 그 관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파일
그렇기 때문에,
사이트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페이지와 파일을 Google에 알리고 중요한 관련 정보를 제공
관련 정보의 예) 페이지가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시간, 페이지의 대체 언어 버전
하지만, 사이트맵은 검색엔진에서 사이트의 URL을 발견하도록 도와주지만 사이트맵의 모든 항목이 크롤링되고 색인 생성된다고 보장하지 않는다.
물론 불필요하다고, 번거롭다고 생각하며 넘어갈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진행했던 페이지는 이미지 콘텐츠가 많았던 페이지이며, 외부와 연결된 링크가 많지도 않았던지라 <a> 태그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여지가 굉장히 적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head>에 굉장히 열심히 기술해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그것도 한계가 있었습니다.
여담으로 Google 검색엔진은 JS를 로딩하고 SPA(CSR)를 크롤링하지만 ( 물론 JS를 로딩하고 크롤링을 진행한다고 해도 100퍼센트는 아닐것이라는 주관이 있음 ),
Naver와 같은 국내서비스 검색엔진들은 SPA(CSR)의 JS로딩을 진행하지 않고 html만 크롤링하여 정상적으로 수집을 하지 않은 이슈도 필요성 중 하나였습니다.
sitemap.xml과 robots.txt을 검색엔진에게 제공해주자.